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문] 어떻게 살 것인가(유시민)

독서

by julia-ss 2022. 7. 10. 17:10

본문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새해가 되면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다짐을 하게 됩니다. 한해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 어떤 한해를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가 바로 새해에 대한 다짐이 될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더욱더 잘 살아내기 위해서 치열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유시민 작가님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책을 통해서 살아가면서 마주할 수 있는 각종 화두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을 것인지 그리고 인생을 어떠한 것들로 채워 나가야 하고 또 비워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해 줍니다. 덕분에 느끼는 바가 많은 독서를 할 수 있었습니다.

 

 

삶의 의미를 고민해보아야 한다

삶의 의미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나름의 답을 가지고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삶은 훌륭할 수 없으며 이것은 자신의 삶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치열하게 고민하지 않는 사람에게 건네는 타인의 위로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보았습니다.

 

인생을 좀 더 가치 있게 살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고민해보는 시간이 꼭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인생의 의미를 찾게 되면 인생에 목적, 목표가 생기고 그것은 더 나은 삶은 살아가는데 동기부여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끔 내가 무엇 때문에 사는지 모르겠다며 한탄하는 사람들을 볼 때가 있습니다. 인생의 목표가 있는 사람이라면 가끔 가다가 지쳐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이 생기기 마련이지만 이런 사람들은 인생의 의미를 다시 찾기 전까지는 무기력함에 오래 빠져있을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삶의 의미를 고민한다는 것은 결국 살아가는 원동력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평생을 해도 즐거운 일

책에서는 인생의 중요한 과제는 평생 해도 즐거울 것 같은 일을 찾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마음이 설레고 일상이 기쁨으로 충만한 삶을 살아갈 것을 권합니다. 평생 해도 즐거울 것 같은 일이 무엇이 있을까요? 사람을 사랑하고 귀하게 여기는 일이 해당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족에 대한 사랑, 인류에 대한 사랑은 평생을 해도 즐거운 일이 될 것 같습니다.

 

한 가지 더 언급해보자면 행복이라는 단어를 강조하고 싶습니다. 행복은 평생 행복해도 즐겁고 설레는 일입니다. 행복하면 기쁨으로 충만한 삶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사랑을 해도 행복하고 나를 위한 일뿐 아니라 타인을 위한 배품을 통해서도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지인들에게 많이 강조하는 것도 행복하게 살자 라는 것입니다. 물질적 풍요도 좋지만 행복으로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삶을 살아가고 싶은 마음입니다.

반응형

 

삶의 완성을 향하여 가자

인간은 역사의 시간을 살아갈 뿐이며, 우주의 시간과 비교하면 찰나에 불과한 삶입니다. 삶의 완성은 바로 죽음이고 어떤 죽음을 준비하느냐 즉, 삶의 내용과 의미를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에 대한 언급도 있습니다. 삶이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사람다운 삶을 제대로 살 수 있다고 말합니다.

 

죽음을 삶의 끝이 아니라 삶의 완성이라고 본다고 생각하니 죽음의 의미가 새삼 다르게 느껴졌습니다. 죽음이 삶의 완성이라면 아름답게, 멋지게 잘 완성시키고 싶습니다. 매일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해서 살 것이고 후회 없이 살아갈 것입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아마 평생을 해도 모자랄 것만 같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지금의 이 마음이 변하거나 변해야만 할 것 같을 때에도 또 한 번 새로운 다짐을 해야겠지요. 그때에도 이 책이 문득 생각이 날 것만 같습니다. 삶에 대한 고민에 빠질 때 다시 한번 책을 펼쳐 도움을 구해봐야겠습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의 에필로그 현명하게 지구를 떠나는 방법은 지금까지 독서를 하면서 읽은 에필로그 중 가장 큰 감동을 느꼈습니다. 꼭 한번 읽어보세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