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화>단군신화(檀君神話)

한국 고전소설

by julia-ss 2024. 11. 10. 19:37

본문

반응형

 

줄거리

옛날에 환인의 서자 환웅이 천하에 뜻을 두고 세상을 탐했다. 그의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환웅에게 천부인 세 개를 주어 세상을 다스리게 했다. 환웅은 태백산 마루에 있는 신단수 밑에 내려와서 그곳을 신시라 하고, 자칭 환웅천왕이라 했다. 이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환웅에게 사람이 되게 해달라고 빌었고, 환웅은 신령스러운 쑥과 마늘을 주면서 이를 먹고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될 것이라 했다. 곰과 범은 이것을 받아서 먹었다. 곰은 삼칠일 만에 여자가 되어 환웅과 결혼을 해 아이를 낳았는데, 그가 바로 단군왕검이다. 단군은 요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인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조선이라 불렀다.

 

반응형

 

작품의 포인트

- '단군 신화'의 인간 지향성

환웅이 하늘에 있으면서도 인간 세상을 바랐다는 것은 '단군 신화'의 인간 지향성을 가장 잘 보여 주는 대목이다. 인간 지향성은 곰과 범이 인간이 되고 싶어 하는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하늘에 있는 신적 존재도, 땅에 있는 동물들도 모두 인간 세상을 바라고 인간이 되고 싶어 한다는 것은, '단군 신화'가 인간 세계를 널리 이롭게 하려 한다는 가치를 담고 있음을 보여 준다.

 

- 단군 신화'의 소재별 상징성

천부인 : 신의 위력과 영험함의 표상으로, 지도자가 주술권을 행사하며 지배권을 장악한 제정일치 사회임을 보여 줌.

신단수 : 천상계와 지상계의 매개 지점

풍백, 우사, 운사 : 당시가 농경 사회였음을 암시함.

쑥과 마늘 : 인간이 되기 위한 금기(통과 제의), 동물의 성질을 없앰.

곰과 범 : 곰과 범을 숭배하는 각 부족의 토템

 

- 단군 신화를 통해 본 고조선 사회

옛날에 환인의 아들 환웅이 있어, 자주 천하에 뜻을 두면서 인간 세상을 몹시 바라고 있었다. 아버지(환인)가 지상 세계를 두루 내려다보니 인간들에게 커다란 이익을 줄 만하므로, …… 환웅은 …… ③ 바람, , 구름을 관장하는 자들을 거느려 곡식과 생명, 병과 형벌, 선과 악을 맡게 하고, …… 때마침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같은 굴에 살면서, 환웅에게 늘 사람으로 변하도록 해 달라고 빌었다. …… 곰은 21일 동안 조심하여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 ⑤ 환웅이 잠시 사람으로 변해서 그녀(곰 여인)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삼국유사”-

 

환웅이 자신을 하늘의 자손이라 내세움 선민사상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홍익인간의 건국이념

농경과 관련 있는 날씨를 다룸 농업 사회

곰과 호랑이를 숭배하는 부족이 있었음 토테미즘

환웅과 웅녀의 결혼 새로운 세력과 토착 세력의 결합

단군은 제사장, ‘왕검은 정치적 지배자를 의미 제정일치 사회

 

요점정리

갈래 : 건국 신화

 

성격 : 신화적, 서사적, 민족적

 

제재 : 단군의 탄생과 고조선의 건국

 

주제 : 홍익인간의 이념과 단일 민족의 역사성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