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설화>도미 설화(都彌說話)

한국 고전소설

by julia-ss 2025. 1. 26. 11:17

본문

반응형

 

줄거리

도미는 백제 사람으로 비록 미천하지만 인간의 도리를 알고 그의 아내는 용모가 아름답고 절개가 있어 사람들의 칭찬이 끊이지 않았다. 개루왕이 이 말을 듣고 도미 아내의 미덕을 시험하고자 한다. 도미는 왕의 횡포에 맞서 아내에 대한 인간적 신뢰를 보여 주며, 아내 또한 시험에 들었지만 지혜로 어려운 처지를 벗어난다. 그러나 아내의 행동이 오히려 왕의 분노를 사고, 왕은 자신의 부도덕함을 반성하기는커녕 자신을 속였다는 사실에 분개하여 도미의 눈을 뽑고 도미의 아내를 궁으로 불러들인다. 하지만 도미의 아내는 또다시 슬기롭게 빠져나와 남편과 함께 고구려로 가서 일생을 마친다.

 

반응형

 

작품의 포인트

- ‘도미 설화의 대립 구조

도미·도미의 부인 개루왕

 

<도미·도미의 부인>

주동 인물

정절을 수호하는 인물

고결한 윤리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적 가치를 존중하는 인물

권력자의 횡포에 수난을 당하는 민중

 

<개루왕>

반동 인물

정절을 파괴하는 인물

인간에 대한 신뢰가 없고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인물

권력을 이용하여 민중을 억압하는 지배자

 

- ‘도미 설화의 전승 및 유사 설화

도미 설화는 유교적 윤리관인 열()의 귀감이 되어 삼국사기와 “오륜행실도” 등에 실려 널리 전승되었다. 또한 이 설화는 청화담” 5권의 삽화로 실려 있으며, 고전 소설 춘향전창작에 설화적 화소를 제공했고, 박종화의 현대 소설 아랑의 정조의 기본틀이 되기도 했다. ‘도미 설화와 유사한 구전 설화로 우렁 각시민담과 제주도의 산방덕 전설을 들 수 있다.

 

 

요점정리

갈래 : 열녀 설화, 관탈 민녀(官奪民女) 설화

 

성격 : 교훈적, 저항적, 서사적

 

구성 : 열녀 설화

 

주제 : 도미 부인의 정절 칭송 및 지배층의 횡포 폭로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