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제8대 아달라왕 4년(158) 동해변에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살았다. 어느 날 해조를 따던 연오는 바위에 실려 일본 땅으로 건너가게 된다. 그때까지 왕이 없던 일본 사람들은 연오를 비상하게 여겨 왕으로 삼는다.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찾아 나섰던 세오도 바위에 실려 일본으로 가게 된다. 연오와 세오는 서로 만나고 세오는 귀비가 된다.
이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잃는다. 이에 국왕은 사자를 일본에 보내어 이들 부부를 찾는다. 연오는 그들이 일본에 오게 된 것은 하늘의 뜻임을 말하고 세오가 짠 비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사자가 돌아와 그 비단을 모셔 놓고 제사를 드리자 해와 달이 옛날같이 다시 밝아졌다. 비단을 창고에 모셔 국보로 삼고 그 창고를 귀비고라 하였으며,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을 영일현 또는 도기야라 하였다.
- 연오랑세오녀'의 신화, 전설, 민담적 요소
1) 신화적 요소
*연오랑과 세오녀가 바위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감 - '주몽 신화'를 연상하게 함.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월의 정기를 상징함.
*연오랑이, 자신이 일본에 온 것은 하늘의 뜻이라고 말함.
*세오녀가 짠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일월의 정기가 부활함.
2) 전설적 요소
*'아달라왕 즉위 4년 정유'라는 구체적인 시간이 제시됨.
*'영일현'이라는 지명의 유래를 밝힘.
3) 민담적 요소
*연오랑과 세오녀는 해조 따위를 채취하는 평범한 인물임.
- ‘ 세오녀’가 짠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해와 달이 광명을 회복하는 것의 의미
연오랑과 세오녀 중 세오녀가 해와 달의 광명과 더 관계가 깊다는 것과, 해와 달의 정기에 세오녀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갈래 : 일월(日月) 신화
성격 : 서사적, 신화적, 전설적
구성 : 일월 신화
제재 : 연오랑과 세오녀의 도일(渡日)
주제 : 일월신의 새로운 세계 개척
<설화>조신 설화(調信說話) (0) | 2025.02.27 |
---|---|
<설화>화왕계(花王戒) (0) | 2025.02.22 |
<설화>지귀 설화(志鬼說話) (0) | 2025.02.06 |
<설화>도미 설화(都彌說話) (0) | 2025.01.26 |
<설화>구토 설화(龜兎說話) (3) | 2025.01.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