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현덕 ‘하늘을 맑건만’총정리-줄거리/해설

한국 단편소설

by julia-ss 2023. 4. 24. 14:24

본문

반응형

 

줄거리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신 문기는 정신이 온전치 못한 아버지 때문에 어려서부터 숙모의 집에서 자라게 된다. 어느 날 문기는 숙모의 심부름으로 고깃간에 심부름을 갔다가 고깃간 주인의 착각으로 훨씬 많은 거스름돈을 받는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문기는 친구 수만을 만나고 그 사실을 이야기한다. 수만은 문기에게 거스름돈을 쓰자고 하고, 문기는 공, 만년필, 쌍안경, 만화책 등을 사고 군것질도 한다. 집으로 돌아온 문기는 그것들을 숨겼다가 삼촌에게 들키게 된다. 문기는 친구에게 받았다고 거짓말을 하지만 삼촌에게 엄하게 꾸중을 듣는다. 그걸 들은 문기는 양심의 가책으로 괴로워하게 되고 결국 공과 쌍안경은 버리고, 남은 돈은 종이에 싸서 고깃간 집 앞마당에 던져 놓고 돌아오면서 홀가분함을 느낀다. 돌아오는 길에 수만을 만난 문기는 더 이상 그런 일을 하지 않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수만은 문기에게 남은 돈을 가져오지 않으면 도둑질을 한 사실을 소문내겠다고 협박한다. 고민 끝에 문기는 숙모의 장에서 돈을 훔쳐 가져다준다. 하지만 이 일로 인해 아랫집에서 일하던 심부름꾼 점순이가 돈을 훔친 범인으로 몰리게 되고, 집에서 쫓겨난다.

자기 탓에 누명을 쓰게 된 점순 때문에 뜬눈으로 밤을 새운 문기는 다음 날 수신 시간에 ‘정직’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후 괴로워하게 된다. 그리고 선생님께 찾아가 잘못을 털어놓으려다 결국 못하고 돌아오는 길에 교통사고를 당하고 만다.

병원에 실려간 문기는 삼촌에게 그동안 있었던 일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하나 숨김없이 고백을 한다. 고백을 하자 문기는 지금까지 겹겹이 몸을 싸고 있던 허물이 벗겨지며 마음속 어둠이 차차 사라지고 맑아지는 것을 깨닫는다.

반응형

 

작가-현덕

현덕은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도 안산의 대부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27년 <동아일보>에 동화 ‘고무신’이, 193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남생이’가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후 청소년들에게 꿈을 주는 소설과 동화 등을 많이 발표하였다. 그는 도스토옙스키 문학에 영향을 받아 인물의 내적 갈등에 대한 심리를 치밀하게 그려 내었는데 ‘하늘은 맑건만’에서도 ‘문기’의 심리를 섬세하게 그리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소년 소설집 <집을 나간 소년>, 동화집 <포도와 구슬>, <토끼 삼 형제>, 소설집 <남생이>등이 있다. 그는 1950년 월북한 작가로 월북 이후의 행방은 알 수 없다.

 

 

등장인물

문기 : 작품의 주인공으로 순진하며 양심적이다. 다른 사람 말에 잘 넘어간다. 소극적이고 용기가 부족한 인물이다.

 

수만 : 문기의 친구로 영악하고 교활한 면이 있다. 적극적인 성격이고, 자신의 욕심을 중요하게 여기고 계산적인 인물이며 겁 없이 나쁜 짓을 저지르기도 한다.

 

작은아버지(삼촌) : 사리분별이 분명하고, 문기를 맡아서 키우는 만큼 인정이 많고 책임감이 강하다.

 

점순 : 아랫집 심부름꾼으로, 문기 때문에 돈을 훔친 범인으로 몰려 쫓겨나게 된다.

 

 

작품의 포인트

 

 

 

문기와 수만의 외적갈등

문기가 남은 거스름돈을 주인에게 돌려주고 수만은 문기의 말을 믿지 못한 것이 원인이 된다. 수만은 길거리와 칠판에 낙서를 하기도 하고 문기를 쫓아다니면서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한다. 그런 수만에게 문기는 아무 말도 못 하고 당하기만 한다.

결국 문기는 숙모의 돈을 훔쳐 수만에게 주고 이로 인해 문기의 내적 갈등은 더욱 심화된다.

 

문기의 내적갈등 심화과정

문기는 수만의 협박에 의해 숙모의 돈을 훔치는 잘못을 저지르게 된다. 이로 인해 점순이가 대신 누명을 쓰고 죄를 뒤집어쓴다. 그러던 중 수신 시간에 ‘정직’에 대해 배우게 되고 스스로 죄책감에 시달리며 괴로워한다. 결국 담임선생님께 죄를 자백하려 하지만 못하게 되고 마음의 괴로움이 더욱 커지게 된다.

 

'하늘은 맑건만' 요점정리

갈래 : 현대소설, 단편 소설, 성장 소설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시간적 배경 : 일제 강점기(1930년대)

공간적 배경 : 어느 도시

 

주제 : 정직하게 사는 삶의 중요성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